'특수 형태 근로 종사자' 태그의 글 목록
본문 바로가기

특수 형태 근로 종사자3

특수 형태 근로 종사자 (특고) 산재 보험법 산재보험 적용에도 차이가 있을 수 있을까요. 회사에서 일을 하다 다치게 되었지만 보험의 적용을 받지 않게 되면 고스란히 모든 부담은 종사자에게 돌아가게 되는데요, 모두에게 동등하고 공평하게 보험의 혜택이 적용되는 것이 올바른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산재보험에 대한 특수형태 근로종사자 적용 개정안에 대한 내용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특수 형태 근로 종사자 (특고) 산재 보험법 특수형태 근로종사자(이하 ‘특고’)의 산재적용 제외 신청 사유를 질병·육아휴직 등으로 한정해 무분별한 적용 제외 신청을 방지하고, 특고 종사자의 보험료 부담을 덜어주어 산재 가입을 촉진하는 법적 장치가 마련되었습니다. 고용노동부는 23일 ‘산업재해보상보험법(이하 ‘산재보험법’)’ 및 ‘고용보험 및 산업재해보상보험의 보험.. 2021. 4. 15.
소상공인 9조 3000억 코로나 지원금 대상자 정리 코로나19의 3차 확산에 따른 피해 지원을 위하여 정부에서 9조 3000억 원 규모의 맞춤형 피해지원 방안을 마련했다고 합니다. 사회적 거리 두기 상향 조절에 따른 여러 소상공인과 특수형태근로종사자, 그리고 고용취약계층의 피해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빠르게 현실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겠습니다. 코로나 지원금 대상자 정리, 총 9조 3000억 규모 2021년 1월 11일부터 소상공인 버팀목자금과 긴급고용안정지원금 등 주요 현금지원 사업을 시작, 설 전에 수혜인원의 90% 수준까지 지급할 계획이라고 정부는 밝혔는데요, 정부는 당초 3조 원+α 규모를 고려했지만 최근의 방역상황을 감안해 피해계층에 대한 더 두터운 보호를 위해 총 9조 3000억 원 규모의 맞춤형 피해지원방안을 마련했다고 합니다... 2021. 1. 1.
통상 임금 평균 임금 휴업수당 & 출산 휴가 급여 특수 형태 근로자 이번에는 모르면 지원금 혜택을 받을 수 없는 두 가지를 소개해드리려고 해요. 바로 5인 이상 사업장의 휴업수당과 특수형태근로자의 출산급여 인데요, 이미 다양한 루트로 홍보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모르고 계신다면, 이번 기회에 꼭 신청하셔서 가계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실 바랍니다. 통상 임금 평균 임금 휴업수당 다니던 회사의 매출이 급감하게 됨에 따라 휴업 중이라면, 근로기준법 제46조에 따라 휴업수당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평균임금의 70%에 달하는 금액으로 사업주가 파업 신고를 하지 않은 이상 받으실 수 있으니 지금 당장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 휴업수당 △ 의미 ˙상시근로자수 5인 이상 사업장에서 사용자의 귀책 사유로 휴업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휴업기간 동안 소정의 휴업수당을 지급해야 함 △ 휴업수당.. 2020. 1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