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 알뜰 교통카드는 대중교통 이용 시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에 비례해 최대 20%의 마일리지를 지급하고 카드사도 약 10%의 추가 할인을 제공, 대중교통비를 최대 30% 절감할 수 있는 교통카드인데요, 지난해 광역 알뜰 교통카드 이용자들은 월평균 교통비 1만 2862원을 아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광역 알뜰 교통 카드 마일리지 적립으로 할인
해당 지역 주민들께서는 광역 알뜰 교통카드를 신청하시어 대중교통비 최대 30% 절감 혜택을 누리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저소득 청년 지원 대상자는 관할 주민센터에서 발급받은 증빙서류를 회원가입 또는 내 정보에 등록해주면, 증빙서류 등록일 기준으로 상향 마일리지가 적용됩니다.
[요약]
☞ 광역 알뜰 교통카드로 월평균 교통비 1만 2862원 절약
☞ 국토부, 지난해 이용실적 분석, 89% 이용 만족
▣ 광역알뜰교통카드
△ 정의
▪ 대중교통을 이용하기 위해 걷거나 자전거로 이동한 거리만큼 마일리지를 적립하여 지급
▪ 아울러 카드사의 추가 할인 혜택을 포함하여 대중교통비를 최대 30%까지 절감할 수 있는 교통카드
▣ 광역 알뜰 교통카드 마일리지 적립
△ 후불카드 신용·체크카드 발급
▪ 신한카드, 우리 카드, 하나카드 택일 후 일정 횟수(15회) 이상 사용 시 마일리지 적립
- 사업 지역 거주민이 아닐 경우 마일리지 미지원
- 사업지역에 포함되지 않아도 사용은 전국에서 가능
- 삼성 페이, LG페이 등 이용 시 마일리지 적립 불가
△ 마일리지 앱
▪ 광역 알뜰 교통카드만 사용하고 마일리지 앱을 사용하지 않으면 마일리지를 지급하지 않음
△ 티머니 페이 앱
▪ 제로 페이 x광역 알뜰 교통카드를 발급받은 후, 광역 알뜰 교통카드 마일리지 앱과 동시에 사용하셔야 혜택 받을 수 있음
▣ 회당 마일리지 적립액(보행·자전거 최대 800m 이동시, 월상 한 44회)
☞ 교통요금 지출액 기준
△ 2천 원 이하 : 마일리지 지급액 최대 250원
△ 2천 원 초과 ~ 3천 원 미만 : 마일리지 지급액 최대 350원
△ 3천 원 이상 마일리지 지급액 최대 450원
▪ 800m 미만은 이동거리에 비례하여 지급
▪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지급, 미세먼지 저감조치 발령 시 두배 지급
▣ 마일리지 적립 방식
△ 출발-승차 구간
1. 승차 및 승차시간 정보를 카드사와 연계하여 제공 받음
2. 출발-승차 시간 동안 가속도/자이로 센서 및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걸음수 측정
3. 측정한 걸음수에 보폭을 곱해서 이동거리 계산
4. 측정한 이동거리에 금액을 적용하여 마일리지 계산(250원/최대 800m)
△ 하차-도착 구간
1. 하차 및 승하차 시간 정보를 카드사와 연계하여 제공 받음
2. 하차-도착 시간 동안 가속도/자이로 센서 및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걸음수 측정
3. 측정한 걸음수에 보폭을 곱해서 이동거리 계산
4. 측정한 이동거리에 금액을 적용하여 마일리지 계산(250원/최대 800m)
△ 하차-도착 구간 마일리지 지급 정책안(하차태그를 하지 않을 경우)
▪ 하차태그를 하지 않을 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음
▪ 스마트폰 이외에는 마일리지 적립이 되지 않음
광역 알뜰 교통 카드
2020년 광역 알뜰 교통카드 사용 집계를 살표 보면, 연령별 이용자 비율은 20대(52.2%)·30대(25.5%) 등 젊은 층의 호응이 컸으며, 성별로는 여성 이용자 비율이 73.3%로 남성(26.2%) 보다 높았습니다. 직업별로는 직장인(68.3%)과 학생(15.7%)이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별로는 부산지역 이용자의 이용 횟수가 월 39.4회로 가장 많았고 경기·인천지역 주민이 월평균 마일리지를 각각 9034원과 8548원 적립해 가장 알뜰하게 이용하였습니다.
▣ 2020년 광역 알뜰 교통카드
△ 이용 내역
▪ 알뜰 카드 이용자들은 지난해 월평균 대중교통을 37.9회 이용하고 6만 3691원의 요금을 지출
△ 절감 내역
▪ 알뜰 카드 사용으로 마일리지 적립 8420원, 카드 할인 4442원 등 1만 2862원의 혜택을 받아 연간 교통비 지출액의 20.2%를 절감
△ 교통비 절감률
▪ 2019년의 16.9%와 비교해 3.3% 포인트 상승
▪ 코로나 19 영향으로 대중교통 이용이 위축된 상황에서도 이용자들이 교통비 절감을 위해 알뜰 카드를 적극적으로 사용한 것
▪ 특히 마일리지가 추가로 지급되는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청년(만 19∼34세)들은 월평균 1만 4721원(마일리지 1만 751원, 카드 할인 3970원), 대중교통비의 26.2%를 절감
△ 이용 만족도
▪ 알뜰 카드 이용자 4만 156명을 대상으로 이용 만족도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 만족한다는 응답자 비율이 89.2%(매우 만족 54.2%·약간 만족 35.0%)로 집계
▪ 응답자의 93.3%가 알뜰 카드가 교통비 절감에 효과가 있다고 응답했으며 특히 58%는 매우 효과가 있다고 응답
▪ 알뜰카드 이용 후 이전보다 대중교통 이용 횟수도 29.1회에서 31.3회로 7.6% 증가
지난해는 광역 알뜰 교통카드 본사업 원년이었음에도 이용인원, 참여 지역, 교통비 절감 효과 등에서 두드러진 성과가 나타났으며, 정부는 올해 광역 알뜰 교통카드의 사업취지인 환경보호, 건강증진, 교통비 절감 효과에 더 많은 이용자들이 공감할 수 있도록 더욱 적극 노력하고 이용자들의 의견을 수렴해 편의성을 지속적으로 개선할 계획이라고 하였습니다.
'짠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머니 제로 페이 광역 알뜰 교통 카드, 신한 하나 우리 카드 (0) | 2021.02.07 |
---|---|
공매도 금지 연장 5월 2일 코스피 200 코스닥 150 공매도 재개 (0) | 2021.02.06 |
제로 페이 온누리 상품권 10% 할인 모바일 상품권 (0) | 2021.02.02 |
공공 주택 특별법 신혼부부 내 집 마련 특공 청약 공인중개사 (0) | 2021.02.01 |
신문 구독 문화비 연말 정산 소득 공제 (0) | 2021.01.29 |
댓글